본문 바로가기

에크리튀르

제1부 제1장 책의 종말과 에크리튀르의 시작 프로그램 데리다는 에크리튀르라는 용어를 기호학이나 문자학에 한정하지 않고 다음과 같이 넓은 범주에 적용한다. 에크리튀르: - 행동, 운동, 사유, 사색, 의식, 무의식, 경험, 정서 - 문자적 표기의 신체적 동작들과 문자적 표기를 가능하게 해 주는 것의 총체 - 기의 자체, 일반적으로 표기를 야기시킬 수 있는 모든 것 - 영화술, 안무법, 회화적/음악적/조각적 에크리튀르 - 스포츠적/군사적/정치적 에크리튀르와 그런 활동들의 표기 체계, 활동 자체의 본질과 내용 - 생물의 세포 속에 있는 정보의 과정들과 관련한 에크리튀르와 프로-그람(pro-gramme) - 인공 지능 프로그램의 영역과 그 환경적 요소(원종합의 환경, 또는 원종합의 환원 불가능한 원자) 그 배경으로 이론수학의 에크리튀르가 표음 문자 중심주.. 더보기
제1부: 글자 이전의 에크리튀르 - 제사 데리다는 기존의 문자과학에 대해 다음과 같이 지적한다. 로고스 중심주의는 표음 문자의 (가장 독창적이고 가장 강력한 민족 중심주의에 지나지 않는) 형이상학이다. 1) 표음화의 고유한 역사가 감추어진 세계에서의 문자의 개념 2) (음성 언어보다 문자 언어를 하대해 온) 로고스에 진리 일반의 근원을 부여해 온 형이상학의 역사 3) 전적으로 비표음적 특징을 지닌 규약을 탄생시킨 소통 체계 내에 언제나 포함되어 왔으면서도 항상 논리적인 것으로 규정된 철학적인 개념이었던 과학의 개념 또는 과학의 과학성 그러나 기존의 분석이 잘못된 것은 아니라고 하면서 그 한계를 극복하겠다고 선언한다. 에크리튀르를 중심으로 한 사색과 탐구가 문자과학의 실증성이 개발되도록 하면서 지식의 장벽을 넘어서, 이미 형성된 정상성과 절대적으.. 더보기
책 정보 그라마톨로지에 대하여 자크 데리다 김웅권 옮김 동문선, 2004 프랑스어 원서: De La Grammatologie Jacques Derrida Les Éditions de Minuit, Paris, 1967 영역본: Of Grammatology Gayatri Chakravorty Spivak 옮김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76/1998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