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 썸네일형 리스트형 A.신호와 의미_1.신호의 세계 1. 신호의 세계 모든 문화적 현상들을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논하기 위해... 커뮤니케이션의 기본 구조 저자는 모든 문화적 현상을 모든 커뮤니케이션을 지배하는 도식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먼저 커뮤니케이션의 기본 구조를 정의할 필요가 있다고 한다. 커뮤니케이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가장 단순한 커뮤니케이션인 기계와 기계 간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예시로 든다. 물론 인간이 관계를 갖는 순간부터 복잡해지지만 이에 대한 것은 나중에.. 소음(소음의 위험을 줄이려면 코드를 복잡하게 구성해야) ↓ 정보원 → 발신기 → 신호 → 경로 → 신호 → 수신기 → 메시지 → 수신자 『코드』 (두 기계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1)신호의 전송은 에 근거. -이진의 분리 방법은 실현 가능한 무한한 사건에서 하나를 규명한다. .. 더보기 서론_1.기호학의 영역 제 1장 기호학의 영역 제 2장 기호학의 한계(선) 제 1장 기호학의 영역 기호학은 통일된 방법론과 정확한 연구 대상을 갖는 특정한 분야인가? 1)기호학의 연구 영역은 다양성과 무질서 속에서 관찰되어야 한다. 2)여기서 현상을 단순화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한다. 이 모델은 이에 부합하지 않는 모든 현상과 방법들을 구분해낸다. 3)이를 토대로 모델 자체도 재구성, 확대, 수정되어야 한다. 4)이런식으로 임시적으로나마 기호학의 한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질적이고 복잡한 현상들을 분석할 수 있는 통일된 방법론을 정립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기호학이라는 방법론을 통해 복잡하고 복합적인 현상을 하나의 구조로 묶을 수 있으며, 하나의 체계를 정립할 것이다. 그러나 연구 영역의 요소들은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반면,..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