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리다는 머리말에서 루소주의를 검토하고 루소주의에 도전하겠다고 선언한다.
(구조적 형태와 역사적 총체성이라는) 두 개의 주의 형태들을 결합하여, 텍스트와 텍스트의 역사적 위상의 문제, 그리고 이 텍스트에 특유한 시대와 공간의 문제를 되풀이하여 다루게 된다.
시대는 그 자체로서 독해 가능성의 가치들과 모델의 효율성을 간직하고 있다.
ref.
루소 [언어기원론]
Jean-Jacques Rousseau, <Essai sur l'origine des langues> (1781)
이 책의 영역본(Essay on the origin of language)과 Johann Gottfried von Herder의 <essay on the genesis of the faculty of speech>의 합본 [On the Origin of Language]
레비 스트로스
루소 [언어기원론]
Jean-Jacques Rousseau, <Essai sur l'origine des langues> (1781)
이 책의 영역본(Essay on the origin of language)과 Johann Gottfried von Herder의 <essay on the genesis of the faculty of speech>의 합본 [On the Origin of Language]
레비 스트로스